동상용 애자구분장치(25 kV용)(KRS PW 0054 – 23 (R))

KRS PW 0054 – 23 (R)

동상용 애자구분장치(25 kV용)

Section Insulator for Same Phase(AC 25 ㎸)


동상용 애자구분장치(25 kV용)

Section Insulator for Same Phase(AC 25 kV)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단상교류 25 ㎸, 커터너리 방식의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동상용 애자구분장치(이하 “구분

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분류

구분장치는 다음[표 1]과 같이 분류한다.

[표 1]


※ 구분장치의 호칭은 명칭, 규격으로 표시한다.

(예) 동상용 애자구분장치 KG형(AC 25 kV)

2. 적용자료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한 참고로 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KS C 3801 애자 시험 방법

KS C IEC 61109 가공 선로용 애자 — 공칭전압 1 000 V를 초과하는 교류 시스템용 복합 현수애자

및인류애자 — 정의, 시험방법 및 허용 기준

KS C IEC 60168 공칭 전압이 1 000 V를 초과하는 계통에 사용되는 세라믹 또는 유리로 만들어진

옥내 및 옥외용 지지애자에 대한 시험

KS C IEC 60383-1 공칭 전압이 1 000 V를 초과하는 가공 선로용 애자 — 제1부: 교류 계통에

사용하는 세라믹 또는 유리 애자 유닛 — 정의,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

KS M 3015 열경화성 플라스틱 일반 시험 방법

KS C IEC 62217 옥내 및 옥외용 폴리머 고압 애자 — 일반 정의, 시험방법 및 허용 기준

3. 필요조건

3.1 구조 및 재료

3.1.1 구분장치의 구조 및 재료는 제작도면에 따른다.

3.1.2 구분장치는 절연애자, 고정금구, 금속스키드(skid), 절연스키드, 아킹혼, 전차선클램프 및 보조클램

프, 행거 또는 드로퍼, 애자구분장치의 설치 및 조가선의 전기적 구분을 위한 KRS PW 0016의

현수애자(3호)로 구성된다.

3.1.3 구분장치는 전차선 접속금구로 전차선에 설치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3.1.4 구분장치는 수평을 조정할 수 있는 행거 또는 드로퍼(수평조정금구)를 구비하여야 한다.

3.1.5 절연애자는 심(Core), 외피(Sheath), 날개(Shed)로 구성된 제품으로 기계적, 전기적, 열적특성이

우수하고, 표면에 흠이나 균열, 부풀음 등의 사용상 유해한 결함이 없어야 한다.

3.1.6 절연스키드는 [표3]의 특성을 만족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3.1.7 절연스키드 브래킷은 강도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PBT+PET(유리섬유함량 : 30%)로 제작되어야

한다.

3.1.8 금속스키드는 기계적 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고정금구에 견고하게 조

립되어야 한다.

3.1.9 아킹 혼은 구분장치의 아크 발생 시 아크소호를 위하여 금속스키드에 설치되어야 한다.

3.1.10 고정금구와 절연애자와의 연결계면은 외부의 습기나 수분침투에 대하여 이상이 없는 구조를 가

지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3.1.11 모든 금구류, 고정금구 및 접속금구는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3.2 특성

3.2.1 구분장치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표 2]




3.2.2 절연스키드의 특성은 [표 3]과 같다.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PW 0054–23 (R)

3/6

[표 3]



4. 시험 및 검사

시험은 인정시험과 일상시험으로 구분하며 시험 및 검사는 다음기준에 의하여 시행한다.

4.1 시험 및 검사항목

시험 및 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으며 시험결과의 양부는 국가공인시험기관에서 시행한 시험성적서에

의한다.

4.1.1 외관 검사

육안으로 검사하여 애자부분에 균열, 긁힘 등의 결함이 없고, 금구 연결부분이 단단히 체결되어야

하며, 전차선 클램프와의 결합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4.1.2 구조 및 치수 검사

육안 및 계기 등을 사용하여 제작도면의 치수를 만족하여야 한다.

4.1.3 상용주파 건조내전압 시험

구분장치의 설치상태인 수평상태로 시험하여야 한다.

1) 전압의 인가방법

전압의 인가방법은 KS C IEC 60168의 4.7.1에 따라 인가전압은 시험전압의 약 75%까지 서서

히 상승시키고 이후 매초 시험전압의 약 2%의 상승률로 상승시키고 규정의 전압을 1분간 인

가한다.

2) 합격 조건

시험품에 섬락 또는 절연파괴가 없어야 한다.

4.1.4 상용주파 주수내전압 시험

구분장치의 설치상태인 수평상태로 시험하여야 한다.

1) 전압의 인가방법

전압의 인가방법은 KS C IEC 60383-1의 14.1에 따라 인가전압은 시험전압의 약 75%까지 서

서히 상승시키고 이후 매초 시험전압의 약 2%의 상승률로 상승시키고 규정의 전압을 1분간

인가한다.

2) 합격 조건

시험품에 섬락 또는 절연파괴가 없어야 한다.

4.1.5 충격 내전압 시험

구분장치의 설치상태인 수평상태로 시험하여야 한다.

1) 전압의 인가방법

전압의 인가방법은 KS C IEC 60383-1의 13.1에 따라 양, 음의 두 극성에 대하여 실시한다. 그

러나 어느 쪽의 극성이 낮은 섬락전압이라는 것이 확실할 때에는 그 극성에 대하여 실시한다.

2) 판정

뇌충격 내전압을 구하는 방법은 내전압법 또는 50% 섬락전압에 의한 방법 중 하나에 따른다.

4.1.6 제품별 사전 스트레스

[표 4]의 제품별 사전 스트레스 시료에 대하여 KS C IEC 61109에 의한다. 단, 인가 하중은 20 kN

으로 하고 시험 전과 시험 후의 금속스키드와 절연스키드의 편평도는 0.5 mm 이내이어야 하며

측정 위치는 구매 또는 발주 규격에 따른다.

4.1.7 수분침투 사전 스트레스

[표 4]의 수분침투 사전 스트레스 시료(애자구분장치의 애자부분 ; 애자와 고정금구조립상태)에

대하여 시험하며 시험 방법과 판정은 KS C IEC 62217에 의한다.

4.1.8 인장 내하중 시험

1) 설치방법

구분장치는 전차선클램프의 연결부에 인장시험지그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하

중이 가하여지도록 설치한다.

2) 하중의 인가방법

하중의 인가방법은 KS C 3801의 8.1.1에 따라 하중은 내하중값의 약 75%까지 서서히 증가시

키고 이후는 서서히 증가시켜 규정 하중값에 달하도록 한다. 그 규정 하중값으로 1분간 유지하

고 시험품의 각 부에 이상 유무를 조사한다.

4.1.9 인장 파괴하중 시험

1) 설치방법

구분장치는 전차선클램프의 연결부에 인장시험지그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하

중이 가하여지도록 설치한다.

2) 하중의 인가방법

하중의 인가방법은 KS C 3801의 8.2.1에 따라 하중은 시험하중값의 75%까지 적절히 증가시키

고 이후 서서히 증가시켜 파괴한다.

3) 전차선+연결금구의 인장파괴하중 시험

전차선에 연결금구(전차선 클램프)를 적당한 방법에 의해 수평상태로 하중이 가하여지도록 부

착하고 위의 하중인가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30 kN 이상이어야 한다.

4.1.10 절연스키드의 특성시험

절연스키드는 [표 3]의 특성에서 정한 시험항목에 따라 시험하여 기준값 이상이어야 한다.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PW 0054–23 (R)

5/6

4.2 검사방식과 수준

4.2.1 검사방식

시험은 인정시험, 일상시험으로 구분하며 시료수는 [표 4]에 따라서 다음에 의하여 시행한다.

1) 인정시험

본 제품의 초기 개발품은 [표 4]의 전 항목에 대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계․재료의 변경시에는 해당항목에 대하여 시험하고 국가 공인기관에서 발행한 시험성

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표 4]


인정시험은 구조 및 치수검사를 인장 내하중시험을 시행한 후 시료를 2개의 군(Group)으로

나누어 규정된 시험을 시행한다.

․제 1 군(Group) : (구조 및 치수검사, 인장내하중) → 전기적 시험(애자부분) → 수분침투 사

전 스트레스

․제 2 군(Group) : (구조 및 치수검사, 인장내하중) → 전기적 시험(구분장치부분) → 제품별

사전 스트레스

2) 일상시험

일상시험은 [표 4]에서 규정한 시료에 대하여 시험하고 시험근거(자체시험 성적서)를 제출하여

야 한다.

3) 원재료 증명서 제출

인증시험시 구분장치의 절연스키드브래킷 성형재료에 대한 원재료 증명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5. 품질수준

3항, 4항의 기준에 적합할 때 합격으로 한다.

6. 표시

가. 내부표시 : 제품의 사용상 지장이 없는 곳에 쉽게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품명, 제작년월, 제작자

명 또는 그 약호, 제품의 일련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나. 외부표시 : 외부 포장 표면의 적당한 곳에 품명, 제작년월, 제작자명 또는 그 약호, 수량을 표시하

여야 한다.

다. 기타 필요한 추가사항은 인수․인도 당사자 간의 협정에 따라 별도로 정할 수 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