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철도의 전력 방식에 따른 분류
1️⃣ 직류(DC) 전철
✅ 전압: 1,500V
✅ 특징: 저전압이므로 변전소가 많이 필요하지만 차량이 가볍고 가속력이 좋음
✅ 적용 노선:
- 지하철 및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1~9호선), 부산·대구·광주·대전 지하철
- 수도권 전철 일부 노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일부 구간
2️⃣ 교류(AC) 전철
✅ 전압: 25,000V
✅ 특징: 고전압이므로 장거리 운행에 유리하고 변전소 간격이 김
✅ 적용 노선:
- 고속철도(KTX, SRT): KTX 경부선, 호남선, 강릉선 등
- 수도권 전철 일부 노선: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등 (직류와 혼용)
- 광역철도 및 일반 철도: 무궁화호, 새마을호 전기기관차
3️⃣ 복전압(DC+AC) 전철
✅ 전압: 1,500V(직류) & 25,000V(교류) 겸용
✅ 특징: 직류·교류 구간을 모두 운행할 수 있도록 차량에 전압 변환 장치 탑재
✅ 적용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 포함)
- 경부선 및 경인선 일부 구간
- ITX-청춘 (경춘선)
📌 즉, 일부 광역철도는 직류·교류 구간을 모두 달리기 위해 복전압 차량을 사용함!
🚆 운행 목적에 따른 전기철도 분류
✅ 1. 도시철도(지하철)
- 운행 목적: 도시 내 단거리 이동
- 운행 방식: 대부분 지하 운행, 정차 간격 짧음 (1~2km)
- 전력 방식: 직류 1,500V
- 대표 노선: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지하철
✅ 2. 광역철도(수도권 전철, GTX)
- 운행 목적: 수도권 및 광역 지역 연결
- 운행 방식: 지하철과 비슷하지만 정차 간격이 김 (3~10km)
- 전력 방식: 직류 1,500V 또는 교류 25,000V
- 대표 노선: 수도권 전철 1~9호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GTX-A/B/C
✅ 3. 고속철도(KTX, SRT)
- 운행 목적: 장거리 고속 이동
- 운행 방식: 정차역 적고 최고속도 300km/h 이상
- 전력 방식: 교류 25,000V
- 대표 노선: KTX 경부선, 호남선, 강릉선, SRT 수서발 고속철도
✅ 4. 일반철도(무궁화호, 새마을호 등)
- 운행 목적: 중·장거리 일반 여객 및 화물 수송
- 운행 방식: 기존 철도망 활용,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최대 150km/h)
- 전력 방식: 교류 25,000V (전기기관차 견인)
- 대표 노선: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등
🏁 정리하자면...
✔ 직류(DC) 1,500V: 지하철 및 일부 수도권 전철
✔ 교류(AC) 25,000V: 고속철도(KTX, SRT), 일반철도(무궁화호 등)
✔ 복전압(DC+AC): 수도권 전철 1호선 등 직류·교류 혼합 구간
📌 우리나라 전기철도는 도시철도(직류), 광역철도(직류·교류 혼용), 고속철도(교류)로 나뉨
Tags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