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차선 [electric car line, 電車線]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팬터그래프(pantograph)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선.
트롤리선(trolley line)이라고도 한다. 보통 한 줄이며, 레일과 짝을 지어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많다. 두 줄의 전차선을 병행해서 부설하고 레일에는 전류를 흘리지 않는 것도 있다. 재료는 경동(硬銅)인 것이 많은데 규소 또는 카드뮴을 함유한 경동도 사용된다. 절삭홈이 있는 단면의 것을 홈붙이전차선이라고 하며, 현수용(懸垂用)의 철물을 장착하는 데 편리하다.
단면적이 85 ·110 ·170 mm2 인 것이 많다. 지지방법에는 직접걸이식(노면전차), 단식 현수걸이식(교외전차, 지하철에 많음), 복식 현수걸이식(고속철도에 많음)이 있다. 전차선만으로는 전기저항이 너무 커서 전압강하가 크므로 전차선에 따라서 지지주 위에 주전선(主電線)을 부설하는 것이 보통이다.
2. 조가선[ 吊架線 , messenger wire ]
조가선이라고 하는 것은 가공 전차선에 주로 사용되는 전선으로 전차선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드로퍼, 행거 등을 이용하여 조가하여 주는 전선을 말한다.
3. 급전선[ feeder , 給電線 ]
전철용 변전소로부터 전동차의 트롤리 선 또는 제3궤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말한다. 가공식의 직류전차선로에서는, 전압강하를 경감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트롤리 선과 병행으로 급전선을 설치한다. 급전선은 변전소의 급전선 모선으로부터 급전계통마다 끌어내어 트롤리선 기둥에 아울러 가설되어 있으며, 일정한 간격마다 급전 분기선에 의해서 트롤리선과의 사이를 접속한다. 급전선에는 경동(硬銅) 꼬임선 또는 경(硬)알루미늄 꼬임선이 많이 사용되며, 소요 단면적과 조수(條數)는 주로 전압강하에서 결정되며, 온도상승이 문제가 되는 일은 적다. 급전선이란 말은 원래 상기와 같이 전동차선에 대한 것이지만, 일반용 전력설비의 경우라도 변전소로부터 송전선이나 배전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곳까지의 전선을 급전선이라 하는 일도 많다.
4.보급선
보호선이라하여 섬락보호 및 전차선에서 전기를 받아 차량의 전동기가 사용한 후 다시 레일로 흘러나가 레일에서 AT로 전기가 흘러가는 소위 귀선로중 일부인데 같은 귀선로라도 레일에서 이 보호선까지의 귀선로는 접속선이라 부르고 전차선을 따라 평행으로 진행하는 부분을 보호선이라 부르고 있다.
5. 드롭퍼[ dropper]
컴파운드 카테너리식 가공선(compound catenary system)에서 메신저와이어 조가선[(吊架線), messenger wire]에 보조 메신저와이어(auxiliary messenger wire)를 매다는 쇠장식물[금구(金具)]로 10m 간격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6.전철주(電鐵柱)
철도 선로 설비의 하나. 전차 선로의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에이치(H) 형강 기둥 형태의 지지물이다.
7. 보호선용접속선[Contact Protection Wire]
단권변압기 방식에서 보호선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
8. 가동브래킷
온도 변화에 의한 전차선의 이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지점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는 브래킷(bracket).
전차선의 이동에 대하여 지지점에서의 억제저항이 작기 때문에 장력조정(張力調整)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설비이다.
9. 현수 애자[ 懸垂碍子 , suspension insulator , Hängeisolator ]
송전선용의 애자로, 현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 캡, 핀의 형상에 따라 크레비스형, 볼소켓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자가 사용된다. 강도가 크고 개개의 편차가 없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캡이 빠질 위험이 없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수한 것은 일부 전기 전도 유약을 사용한 사일런트 애자와 전면 전기 전도 유약을 사용한 애자가 있다.
10. 장간 애자[ stem insulator ]
등간격으로 주름을 잡은 1개의 충실한 자기 막대의 양단에 아래로 달린 애자용 캡을 덮어씌운 것이며, 가동 브래킷과 함께 실용화된 것이다. 장간 애자는 건조 섬락 전압에 비하여 물을 주입 섬락 전압의 저하가 적고, 그 형상이 우세 효과에 의해 내오손성이 있는 외, 섬락의 경우에 아크가 자기부에 접촉하기 어려운 내아크성이 있는 등 여러 가지인 이점이 있으므로, 가동 브래킷의 채용에 따라 널리 채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