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계가 (Designer)
- 건축, 토목, 전기, 기계 등의 설계를 담당하는 전문가(건축가, 엔지니어 등).
- 도면 작성, 시방서 작성, 재료 선정 등 계획 단계에서 주로 활동.
- 법규 및 안전기준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형태와 기능을 결정.
- 설계 의도에 따라 실행가(시공팀)와 협의하며, 필요 시 설계 변경 지원.
2. 실행가 (Executor)
- 설계 도면과 사양을 바탕으로 실제 공사를 수행하는 시공팀 및 현장 관리자.
- 공정 계획을 세우고, 자재 조달, 인력 관리, 안전 및 품질 관리 수행.
- 시공 도중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 시 설계 변경 요청.
- 시공이 완료되면 준공 검사 및 인수인계를 진행.
3. 설계가 vs 실행가 차이점 정리
역할 | 설계 및 계획 수립 |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시공 수행 |
주 업무 | 도면 작성, 사양 결정, 법규 검토 | 공사 진행, 자재 및 인력 관리, 품질 관리 |
고려 사항 | 구조적 안정성, 기능성, 미관, 법적 규제 | 시공 가능성, 공정 관리, 비용 및 일정 |
협력 대상 | 건축주, 엔지니어, 시공팀 | 설계가, 노동자, 자재업체 |
4. 설계가와 실행가의 관계
설계가가 계획한 대로 실행가가 공사를 진행하지만, 현장 여건이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일부 설계 변경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설계가와 실행가는 협력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즉, 설계가가 이론적 설계를 주도하고, 실행가는 이를 현실적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외에도 아래와 같이 구분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황에 따라서는 아래의 방법으로 표현을 할 수 있다
■ 설계가 : 시중가격(표준품, 한국물가정보)을 통하여 누구나 알 수 있는 가격.
■ 설계가 : 시중가격(표준품, 한국물가정보)을 통하여 누구나 알 수 있는 가격.
일반적으로 조금 비쌈
■ 실행가 : 내가 실제 공사를 할 수 있는 가격.
■ 실행가 : 내가 실제 공사를 할 수 있는 가격.
시중에서 여러 곳을 비교하여 가격을 저렴하게 낮춘 가격.
Tags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