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용어 - 집전특성, 가요성, 추종성, 전식, 이선, 섬락 등

 ◆ 집전특성
- 가선·팬터그래프계, 제3궤조·집전화 등의 집전하는 종합 능력을 일반적으로 집전 성능을 말한다. 집전 성능에는 기계 특성, 전기 특성, 마모 특성 등이 포함된다.

가요성
- 외부의 힘에 의하여 물체가 구부러져 휘는

추종성
- 외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려고 할 때 균열이 생기지 않으면서 변화에 순응할
수 있는 성질. 팬터그래프가 움직일 떄 전차선이 따라서 움직임

전식
- 철도궤도 등의 직류 전화 구간에 있어서 급기가 많은 터널 등에서 기관차의 회귀 전류의 전해 작용에 의해 레일이 부식하는 것. 일반적으로는 누설전류에의한 부식을 말한다

이선
- 전동차가 주행 중 판타그래프가 전차선에 대한 접촉력이 0으로 되어 전차선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

섬락
- 송배전선의 애자 등 절연물을 끼워넣은 두 도체간의 전압이 어떤전압(섬락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절연물 표면에 있는 공기를 통해 아크 방전이 일어난 것

정류장치

-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리는 특성을 가지도록 만든장치.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데 사용

점착력

- 차륜과 레일간에 생기는 마찰력을 말하며 차륜이 레일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은 점착력 때문이다

침목

- 레일로 부터 받은 하중을 도상에 전달시키는 역할

궤간

- 두 철로 사이의 간격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