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차선의 종류
1) 원형 Cu 110[㎟] - 일반적으로 AC구간에 적용
2) 이형/제형 Cu 150[㎟] - 일반적으로 DC구간에 적용(170㎟을 만힝 사용함)
2. 점검 설비 및 요소
전차선에서 비정상적인 마모가 발견될 경우, 기술점검에서 전차선 두께 측정을 수행한다. 조치될 유지보수작업은 측정된 전차선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장력이 걸려있는 구간에 대한 전차선은 마모의 추이를 관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마모측정을 수행한다.
∘ 전차선 두께의 간헐적 측정
∘ 전차선 마모점검 절차
∘ 무작위 추출에 의한 두께 측정
∘ 체계적인 두께 측정
∘ 평균마모 두께값의 산출
∘ 전차선 교체
※ 전차선 두께 측정장비 - 버니어캘리퍼스, 다이얼게이지
1) 전차선 마모점검 절차
가) 전차선 마모점검은 정기적인 전차선 두께측정을 포함한다.
나) 전차선의 두께는 측정할 수 있는 장비에 의해서 측정된다.
다) 이론적으로 마모의 측정은 매번 같은 지점 및 인류된 전차선의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라) 두께측정 과정에서, 전차선의 마찰면의 휨, 불량, 거치름 등의 결함이 발견되어야 한다.
마) 측정은 아래와 같이 수행된다.
・전차선의 두께가 평균마모 두께값보다 클 때, 무작위 추출검사를 실시한다.
・두께가 평균마모 두께값보다 작거나 전차선의 잔존수명이 5년 미만일 때 전체 인류구간에 대한 체계적인 측정을 한다.
바) 전차선의 두께측정은 항상 비정상적인 마모를 보이는 지점에서 수행한다.
사) 측정값은 마모측정 기록부에 기록되어야 한다.
2) 평균 마모 두께값의 산출
가) 평균 마모 두께는 장력구간별로 산출한다.
나) 평균 마모 두께값은 측정한 두께값의 총합을 측정한 총수로 나누 어 얻을 수 있다.
다) 비정상적인 마모지점은 고려하지 않는다.
3) 전차선 교체
다음의 경우 인류구간의 전차선은 교체된다.
가) 전차선의 잔존직경(표1) 한계값이 되었을 때
나)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 수 n과 필요시 계속 설치될 클램프 수를 더한 값이 ㎞ 당 허용 클램프 수인 10개가 되었을 때
4) 전차선 마모측정 기록부
책임자는 각 인류구간에 대한 전차선 마모측정 기록부를 작성한다.
마모측정 기록부는 전차선이 설치상태와 마모상태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기록하여 하드카피 형태로 보관한다.
기록부는 두께측정(평균두께, 접속 클램프 수)에 포함된 정보를 요약하고 아래 공식에 의해 완성된다.
가) AC 25㎸ 커티너리 가선구간의 전차선 마모율은 0.0083[㎜/1만 panto]이다.
나) 연간 전차선 마모율
0.0083[㎜/1만 pan] × 연간 팬터그래프 통과 회수[1만 pan]
다) 전차선 수명
전차선 =신품 전차선 두께 - 잔존직경 / 연간 전차선 마모율
- 장력구간의 교체 예상년도를 기록한다.
5) 전차선의 결함
가) 표면마찰 하자
이 하자는 색상, 광택, 찢어짐, 긁힌 자국, 전차선의 녹은 흔적 등으로 식 별된다.
나) 상태
전차선의 휨, 뒤틀림, 축소, 깨짐에 의한 하자
다) 외양
전차선의 색 변질을 시키는 열에 의한 하자
라) 비정상적인 마모
정상적인 마모상태의 전차선은 노르스름하고 푸르스름한 빛을 띠며 표면이 균등하고 광택이 나는 짙은 갈색을 보인다.
이와 다른 외양은 비정상적인 빠른 마모를 나타내므로 그 원인을 찾아 교정해 주어야 한다.
비정상적인 마모의 원인은 기계적이거나 전기적일 수도 있고 때론 두 이유가 복합적이기도 하다.
비정상적인 마모의 원인
- 찢어짐이나 쪼개짐이 있는 거친 마찰표면(찢어짐 현상)
- 구리입자의 점착(달라붙음 현상)
- 가열냉각에 의한 붉은 색
- 불균등한 두께
- 구리침전물
출처 - 국가철도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