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선 종류


1. 카테너리 방식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전차선의 모습으로 저속부터 400km가 넘는 고속까지 다양한 속도에 대응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부피가 크기 때문에 충분한 부지 확보가 필요하므로 터널과 같은 좁은 장소에서는 이용하기 어렵거나 시공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2. 가공 강체 가선방식

위의 커티너리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방식으로서 크기가 작아 터널같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기에 지하철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카테너리 방식만큼의 고속주행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3. 제3궤조 집전방식

위의 두가지 방식과는 다르게 전차선을 차량 상부가 아닌 선로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강체가선 방식처럼 크기가 작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속주행이 부분적으로 가능한 강체방식과 비교해 고속주행이 어렵고[1], 전차선이 상부가 아닌 하부에 있기에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다는 단점도 있다.


  커티너리 강체전차선 제3궤조
T-BAR R-BAR  
추종성 좋다 나쁘다 나쁘다 나쁘다
구조 부품 종류가 많음
(일반적으로 심플커티너리 사용)
복잡함
(T-Bar에 전차선을 롱이어로 고정)
간단함
(R-Bar에 전차선을 삽입)
간단함
(바닥 레일에 설치)
단면적 - 2642mm^2 2214mm^2 -
지지간격(m) 50 5 10 -
지지구조물 복잡함
(전주, 빔 장력장치, 신축용 브라켓, 곡선당김장치 등)
다소복잡 다소복잡 단순
유지보수 어려움
(단선,부품종류가 많다)
어려움
(용접,마모량 높음)
보통
(마모량 높음)
용이
집전자위치 차량상부 차량상부 차량상부 차량하부
시공성 어려움 어려움 보통 쉬움
터널 단면적 크다 중간 중간 작다
장점 시공 난이도가 낮으며, 전차선의 마모가 적다 응급복구 간단(단선리스크 없음)하다
전류용량이 충분하므로 별도의 급전선이 필요없다
설치 및 레일점검이 쉽다
단점 단선의 리스크가 높으며, 부품/시설물이 많다 가요성이 없어서 전차선 마모가 크고 팬터그래프 습동판의 손상이 크다
요철에 의한 국부적아크에 취악함
지상에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낮다
적용장소 지상/지하 지하 지하 지상/지하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