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선의 종류(AC/DC/복 등)

  전차선은 전차(전기 기관차나 전기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철도에서 전기기관차나 전기 열차가 원활하게 운행되려면 전차선으로부터 전력을 받아야 하는데, 이 전차선은 보통 고압 전기를 철도 차량에 전달합니다. 전차선의 종류는 전압, 설치 방식,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전차선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단상 교류 전차선 (Single-phase AC)

  • 설명: 이 방식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차선 시스템입니다. 대부분의 고속철도와 도시철도에서 사용됩니다.
  • 특징:
    • 주로 25kV의 단상 교류(AC)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합니다.
    • 교류 전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송전 효율이 높고, 변압기 등을 이용해 전압을 쉽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KTX와 같은 고속철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2. 복상 교류 전차선 (Three-phase AC)

  • 설명: 복상 교류 전차선 시스템은 세 개의 상(phase)을 사용하는 전력 공급 방식입니다. 복상 교류 방식은 일반적으로 산업용 대형 전기 모터나 공장 등에서 사용됩니다.
  • 특징:
    • 상대적으로 전기 송전에서의 효율성은 높지만, 철도에서의 사용은 드뭅니다.
    • 여러 상을 사용하여 더 고른 전력 분배가 가능합니다.

3. 직류 전차선 (DC)

  • 설명: 직류 전차선 시스템은 직류(DC) 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시스템은 저속 철도와 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특징:
    • 1.5kV 또는 3kV의 직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직류는 교류보다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여, 저속의 철도에 적합합니다.
    • 직류 전차선은 전압 변동이 적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4호선까지는 직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4. 복합 전차선 시스템 (Hybrid)

  • 설명: 복합 전차선 시스템은 교류와 직류를 함께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주로 두 가지 전차선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 철도에서 사용됩니다.
  • 특징:
    • 교류와 직류 전차선 시스템을 전환하거나 겸용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환경에 따라 적합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습니다.
    • 일부 열차는 교류와 직류를 모두 지원할 수 있어, 다양한 노선에서 효율적으로 운행이 가능합니다.

5. 컨덕터 케이블 (Conductor Rail)

  • 설명: 일반적인 전차선은 공중에 설치된 전선으로 전기를 공급하지만, 컨덕터 케이블은 전차선 대신 철도 노면 가까이에 설치된 전력 공급 장치입니다. 주로 지하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특징:
    • 전차선이 지하에 설치된 경우, 공중에 전차선을 설치할 수 없어 지하철 등에서는 이 방식이 필요합니다.
    • 지면에 설치된 전철 레일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차선의 공간적 제약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집전장치 (Pantograph)

  • 설명: 전차선과 철도 차량이 전력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집전장치는 차량이 전차선의 전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로, 기차나 전기차량의 옥상에 장착됩니다.
  • 특징:
    • 집전장치는 전차선과 직접 접촉하여 전류를 철도 차량에 공급합니다.
    • 주로 고속철도나 장거리 열차에서 사용됩니다.

전차선의 종류는 철도의 특성과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며, 각 시스템은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설계됩니다.

다음 이전